티스토리 뷰

올해 세계 반도체시장규모 규모가 600조원 이상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코로나-19 이후 가파른 경기 회복과 반도체 부족 현상이 주요한 배경이다. 특히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의 주력인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가파른 성장을 할 것으로 예측됐다.

16일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에서 진행하는 'SMC 코리아 2021' 회의에서 연사로 나선 밥 존슨 가트너 애널리스트는 올해 반도체 시장에서 약 615조원(5450억 달러) 매출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 반도체 시장 매출 전망, 1Q 2021 기준      
단위: 달러
연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매출 4,660억 5,450억 6,020억 5,920억 6,110억 6,490억
자료: 가트너

향후 전망은 더욱 밝다. 2022년에는 6,020억 달러, 2025년에는 6,490억 달러를 기록하며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연평균 6.8%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이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주도권을 쥐고 있는 메모리반도체 가파르게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밥 존슨 애널리스트는 "메모리 호황으로 제품 평균단가(ASP)가 내년에 정점을 찍으며 메모리 반도체만으로도 2000억달러 시장이 형성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세계 DRAM 시장 매출 전망
 단위: 달러
연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매출 659억 844억 1055억 848억 810억 925억
자료: 가트너

 

구체적으로 각종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고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는 메모리인 DRAM 시장 올해 매출은 지난해 대비 28% 성장한 844 달러를 기록할 전망이다. 정보기술(IT) 기기가 전원이 꺼져도 정보를 기억하는 NAND 플래시 메모리는 올해 653억 달러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NAND 시장은 지난 해부터 내년까지 매출 규모가 매년 20%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 NAND 플래시 시장 매출 전망
단위: 달러
연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매출 534억 653억 816억 778억 817억 932억
자료: 가트너

 

주요 메모리 수요처는 데이터센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언택트 붐 이후 클라우드 시장 성장으로 인한 각 기업 서버 인프라 투자와 메모리 반도체 교체 수요가 동시에 용 반도체시장 700억달러에서 50% 가량 2메모리 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는 이런매물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설비투자와 제ㅓ져도 품개발에 일어나면서 올해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시장(700억 달러)에서 50%가량이 메모리 수요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이런 메모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설비 투자와 제품 개발에 한창이다.

DRAM, NAND 플래시 시장 업계 1위 삼성전자는 올 상반기에만 12인치 웨이퍼 기준 월 10만장 이상의 메모리 설비투자에 나설 것으로 파악된다. 또 14나노(nm) DRAM, 176단 NAND 플래시를 하반기 양산하기 위한 준비에 한창이다.

SK 하이닉스는 경기 이천시 신규 팹 M16에 10나노 4세대(1a) DRAM 양산을 위한 준비에 한창이다. SK 하이닉스는 최근 세계적인 반도체 자립화 및 부족 현상으로 설비투자에 필요한 반도체 장비가 부족해질 것을 우려, 설비투자 예산을 당겨서 집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반도체 칩 쇼티지(공급부족) 사태가 자동차를 이어 제조업 전반으로 확산될 기미를 보이면서 전 세계 국가들이 '자국 우선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동맹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정부의 지원 정책과 더불어 반도체 제조사와 자동차·IT 등 수요업체들의 협력 관계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자국보호주의를 가장 강력하게 시행하고 있는 국가는 미국이다. 로이터통신이 지난 14일(현지시간) 보도한 바에 따르면 미국 상원은 향후 5년간 미국의 반도체 생산과 연구를 진흥하기 위해 520억 달러(약 59조원) 규모의 지원 법안을 발의할 계획이다. 이는 바이든 행정부가 집권 초기 반도체 자국 공급망 강화를 위해 마련한 법안 '칩스 포 아메리카 액트'에 따른 후속 조처 성격이다.

이번 상원의 법안 발의에는 최근 반도체 부족과 관련해 수요 기업들의 강력한 요구도 역할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애플·구글·아마존 등 미국 내 IT기업을 중심으로 '미국 반도체 연합(SAC)'라는 이익단체가 결성됐다. 이들은 미국 연방의회에 서신을 보내 반도체 산업을 위한 자금지원 입법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해당 단체에는 인텔, 엔비디아, 퀄컴 등 미국 내 반도체기업 뿐 아니라 대만 TSMC와 한국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으로부터 노골적인 견제를 받고 있는 중국 역시 반도체 공급망 내재화를 위해 거대한 규모의 자금 지원책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2015년 '반도체 굴기'를 선언하며 10년에 걸쳐 1조 위안(약 170조원)을 투입하기로 한 중국의 최우선 목표는 자급률 상승이다. 기업의 공정 난이도에 따라 세제 혜택을 주는 등 내재율 제고를 추진 중이다.

유럽연합(EU)도 오는 2030년까지 반도체 생산 점유율을 20%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최대 500억 유로(약 67조원) 규모의 지원안을 마련했다. 네덜란드 반도체 업체인 ASML NXP, 독일 인피니온 등을 대상으로 자금 지원을 원활히 하기 위한 동맹 결성 역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